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독자 마당] 아주 보통의 하루

새마음으로 맞이하는 또 한 번의 새해 을사년! 새해를 수십 번 맞으면서도 새해 결심은 한 번도 이루지 못한 채 늘 작심삼일로 끝나곤 했다.     연령에 따른 세월의 속도를 자동차주행 속도에 비교하기도 한다. 90대는 90마일로 달린다고 하니, 종착지가 다가옴을 아쉬워할 수밖에 없다. 2025년은 푸른 뱀의 해다. 푸른 뱀은 지혜 풍요 치유와 재탄생을 상징하는 동물이라고 하니 지혜와 성장의 기운이 많이 깃들기를 바라면서 모든 가정에 복이 가득하길 바라본다.   새해를 맞아 결심을 적기 위해 새 종이를 펼쳐놓는다. 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거창한 결심은 접어두고 남들 눈에는 대수롭지 않을지 모르나 내 나름대로 또 한번 적어 본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듯이 인생도 출생과 함께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오래 살다 보니 사랑하는 남편과 친구들의 죽음을 곁에서 지켜봤다. 삶과 죽음은 무관하지 않다. 죽음을 겪으며 매순간 순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죽음의 확실성도 알았다.     인생의 종착지에 다가가는 시점에 웰다잉(Well-Dying) 연습을 빼놓을 순 없다. 인생 즐거움을 아는 순간부터 더욱 절실해 지며 삶을 사랑한다면 그만큼 죽음에 대해서도 잘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결코 삶은 무한하지 않으니 말이다.   미래 소비 트렌드 예측서인 ‘트랜드 코리아 2025’는 올해 주요 트렌드 키워드로 ‘아보하’를 선정했다고 한다.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이다. 너무 행복하지도, 그렇다고 너무 불행하지도 않은 보통의 무난한 일상을 말한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평온함을 찾으려는 삶의 태도다. 예측 불가능하고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사회의 다양한 갈등 속에 우리들의 바람인 것 같아 나도 함께하려한다.   무지와 교만, 허영과 오판으로 타인을 원망하지 말고 다가오는 순간 순간 감사하며 용서하면서 사랑하고 모든 것을 비우고 내려놓고 떠나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하지만 열정과 의욕까지 잊어선 안 되겠다는 생각도 같이 해본다. “인생에서 늦을 때란 없다”고 하니 말이다.   임순·LA독자 마당 보통 새해 결심 새해 을사년 자동차주행 속도

2025-01-23

[골프칼럼] <2354> 을사년 푸른 뱀(靑蛇)의 해

새해가 되면 매번 되풀이되는 다짐은 누구나 있게 마련이고 을사년(乙巳年)을 맞이하는 골퍼들 마음도 그럴 것이다.   지난해 마무리 못 한 일들을 새롭게 시작하겠다는 환상의 꿈을 품고 새로운 계획으로 거칠고 메마른 마음을 추슬러 사랑을 듬뿍 담아 이웃에 전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어쩌다 본 ‘토정비결’에 좋은 일이 있겠노라 하면 마음이 푸근해지고, 나쁜 괘면 다시 한번 글자 하나하나를 곱씹어 보기도 한다.   나이는 한 살 더 먹었는데도 두 살 뒤로 하는 듯, 젊어진 것 같은 신년의 세시 풍경이다.   시작과 끝이 없는 세월에 새해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묵은 때를 벗기고 신선한 마음으로 새로운 출발점에 설 수 있기 때문이다.   아파트에서 하우스로, 아이들 방이 있는 우리 집을 장만한다는 희망찬 꿈과 덜덜거리는 중고차를 처분해 전기차를 살 것이라는 기대감도 신년에나 다짐해 보는 우리들의 특권이다.   골퍼들의 꿈은 어떠한가? 지금은 백(100)타일 망정 90과 심지어 70대의 싱글에 도전하여 이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도 나만이 가질 수 있는 포부이다.   도대체 그 어려운 72라는 파는 누가 만들었단 말인가? 십진법으로 10홀에 파가 100이면 안 되겠는가? 하필, 18홀에 72가 무엇인가?   ‘18’이나 ‘72’라는 숫자는 아시안이 좋아하는 가보(9)라는 숫자와 상통한다. 골프의 발상지인 스코틀랜드에서 왜 아시안이 좋아하는 행운의 ‘9’자를 채택했는지 궁금하다.   1457년 스코틀랜드에서 골프가 시작됐다고는 하지만 세종3년 1421년, 무려 36년이나 앞서 조선왕조실록, 봉희놀이에 대한 기록을 보면 경기방법이나 기구가 현대 골프와 흡사하다.   이뿐인가. 13세기경 원나라에서도 ‘추환이라는 경기가 왕실을 중심으로 성행했다’고 원나라 문헌‘환경’에도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골프 코스의 전후반 9홀이나 18홀 전체가 ‘9’라는 숫자이고 36홀, 54홀, 72홀 역시 9라는 숫자다. 그리고 전반 9홀의 기본타수(par)도 36, 18홀 전체는 72타, 27홀은 108타, 36홀은 144타 등 모두가 9자와 일맥상통한다.   아무튼 9자로만 이루어진 골프에서 9(single digit)를 목표로 하되, 가정과 사업(직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되고, 앞 팀이 밀렸거든 기다려 주고, 숲속에 숨어버린 하얀 백구(골프공)를 함께 찾아주며 상투적인 언사이긴 하지만 ‘어딘가에 있을 것 같다’고 위로하는 아량도 베풀어보자.       계산이 어려워 홀을 되돌아 손가락을 접으며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초보 골퍼의 아물아물한 숫자개념, 벙커를 온탕 냉탕 들락거리며 6자에 8자, 양파(더불파)를 했다 해도 그들을 챙겨줘야 다시 도전하는 진정한 골퍼로 거듭난다.   ‘너 죽고 나 살자는’ 험악한 분위기가 골프를 병들게 하고 지폐가 오가다, 헤어지는 썰렁한 분위기보다는 식탁의 보글보글 끓고 있는 전골을 함께할 수 있다면 이것이 친목과 행복이다.       필자가 수시로 강조하는 골프의 9가지 매너(manner)중 첫 번째, 잘 배우면 ‘보약’, 잘못 배우면 '마약'이라는 말을 되새기며 심지 있는 새해, 을사년 골프를 맞이해 보자.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을사년 청사 새해 을사년 숫자개념 벙커 골퍼들 마음

2025-01-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